[제16호] 일일 경제퀴즈 (출처: 한국은행 경제교육 9월 25일)

Day 1,404, 15:27 Published in South Korea South Korea by Cutler Beckett10

문1) 아래 글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1960년대 사람들은 물을 마시기 위해 돈을 지불하지 않았다. 마을의 시내에서 흐르는 깨끗한 물을 언제나 마음껏 무료로 마실 수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2006년 사람들은 돈을 주고 물을 사서 마신다. 깨끗한 물이 그만큼 귀해졌기 때문이다. 지구 환경이 앞으로 어떻게 변하느냐에 따라 지금은 모두가 무료로 누리고 있는 공기도 2056년에는 돈을 주고 사야할 지 모른다.」

1. 1960년대의 사람들이나 2006년의 사람들이나 선택의 문제에 직면하는 것은 동일하다.
2. 만약 2056년에는 공기를 돈을 주고 사야만 되는 상황이 된다면 공기는 자유재로 분류되어질 것이다.
3. 물은 1960년대에는 자유재였으나 2006년에는 경제재가 되었다.
4. 희소성의 원칙이 나타나고 있다.


문2) 현재 금융상품의 이자소득에 대해서는 이자소득세 14%와 주민세1.4%를 포함하여 전체 15.4%의 세금이 부과되고 있다.

1. O
2. X


이전호 정답

정답) 1번 - O

만기가 1년 미만인 단기금융상품이 거래되는 시장을 단기금융시장 혹은 화폐시장이라고 합니다. 특히 금융기관 사이에 단기적인 자금거래가 이루어지는 시장을 콜(Call)시장이라고 하며, 여기서 형성되는 이자율을 콜금리라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