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들리는 한국 시장] Chap.2 외국 시세

Day 1,412, 20:27 Published in South Korea South Korea by Destiny Angel

[흔들리는 한국 시장] Chap.2 외국 시세

1. 자원보너스에 따른 변화


현재 e-world는 제 3차 세계 대전이라고 할정도로 one 연합과 Tera 연합간의 싸움이 동시다발적으로, 광역적으로 벌어지고 있다. 이에 따른 강대국들의 생산 보너스는 20~100%를 왔다갔다 하고 있으며, 이것은 환율 및 생산품 시세에 영향을 미친다.
우리나라시장은 생산 보너스가 많아지면, 환율과 원자재가격 잡마켓 가격이 모두 오르고, 제 2차 생산품의 가격은 봇에 의존하는 전형적인 개발도상국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강대국 시장은 다르다. 환율에 따라 정해져있는 잡마겟 가격이 형성되어 있으며, 생산보너스가 많을수록 2차생산품의 가격과 원자재 가격이 변동하는 시장거래 중심의 탄탄한 경제기반을 보인다.


2. 봇활동의 차이


1) 일반적으로 활동하는 봇

한국과 같은 개발도상국과 세르비아같은 강대국의 봇활동에는 차이를 보인다.
한국의 경우 제 2차 생산품을 구입하는 봇이 활동을 한다. 즉, Q5 빵은 3.8원에 팔면 3.3원의 이익이 남으며 무조건 봇이 시간당 40개정도를 구매해준다.
그러나 강대국 같은 경우 2차 생산품을 구입하는 봇이 존재하지 않는다. 하지만, 원자재를 구입하는 봇이 활동한다.
이 조건은 각 나라마다 다르다.


2) 기습적인 봇 구매

쉽게 말하자면, 일상적으로는 활동하지 않지만 어떠한 조건이 생겼을 때 활동하는 원자재와 빵 무기 봇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한국 같은 작은시장에서는 원자재를 기습적으로 구매하는 봇은 헤비 바이어들과 다르지 않다. 하지만 세르비아 같은경우는 다르다.
사실 헤비 바이어들은 3~4분안에 약 4~5만개이상의 원자재를 몽땅 구입한다. 하지만, 빵의 경우는 다르다. 4~5만개의 빵을 시장에서 일괄구매 할 수 잇는 경제력을 가진사람은 존재할지는 몰라도, 그렇게 구매할 바보는 없다.
이것은 외국에서도 갑론을박이 있고, 존재하는지 마는지에 대한 토론은 많았지만 답이 나오지 않았다. 하지만 정확적인 근거로 순간적으로 일정이하가격의 물량을 소모시키는 봇 또는 사람이 존재 한다는 것이다.


3. MU 배틀오더 패치


현재 api시스템의 오류로 전투 로그가 일부 저장안되는 현상이 발생되었고, 그에 따라 세르비아의 MU 소속 군인들이 이를 기회삼아 다른나라에서 BH(배틀 히어로)나 CH(캠페인 히어로)러쉬를 감행하였고, 자국의 전투에는 참여하지 않았다.
그러나 이번 MU 오더 패치로 오더에 따른 25킬을하면 에너지 바와 바주카를 주는 패치가 진행되었고, 에너지바를 얻기위해 해외에 나가있던 헤비 딜러들이 자국으로 들어오게 되었고, 잠잠했던 세르비아 전장에는 괴수들의 폭격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세르비아는 원래의 영토를 복구하고 있다.


4. 밀수업자들의 영향


강대국의 경우 일반적으로 개발도상국보다 2차생산품의 골드대비 가격이 낮다. 그렇기 때문에 개발도상국에서는 강대국의 2차 생산품을 구매해서 자국 화폐로 봇에 판매한후 차익을 얻는다.
그렇기 때문에. 이 밀수업자들이 강대국의 환율에 영향을 미치는 양은 굉장히 크다. 현재 세르비아를 보면, 2차생산품의 가격이 상승함에 따라 환율도 급격하게 상승했다.(대략 20😵 그이유는 외국에서 더이상 세르비아의 화폐를 구매하지 않기 때문이다.
결국 세르비아같은 강대국들도 자원보너스, 환율 밀수업자들에 의해 시장이 계속적으로 변동된다.


5. 외국시세 언제 매수할 타이밍인가?


MU패치로 인해 다른나라를 휘젓고 다니던 많은 랭커들이 세르비아로 돌아왔다. 그렇기 때문에 쭉 밀리던 세르비아 전장은 다시 상승세를 타고 있으며, 영토를 다시 회복하고 있다.(폴란드가 현재 가만히 있기 때문에 또 어떻게 변화될 지 모른다.)
외국 화폐를 매입할 타이밍은 그 나라가 전투에서 대부분 패전하고 자원 보너스를 모두 잃어 다른 투자자들이 관망할 때이다.
가장 큰 차익을 가질 수 있는 방법은 그나라가 망할때 외국 화폐를 삿다가, 다시 영토를 회복했을때 생산품을 구매해서 판매하는 방법이다.
확실한건 지금은 외국 화폐를 매입할 타이밍이 아니다.

글쓴이의 다른 경제 신문 보기
[흔들리는 한국 시장] Chap.1 환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