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도회] 경제 해설과 그외 알림사항

Day 1,393, 20:03 Published in South Korea Japan by Grease


안녕하세요 그리즈입니다.

현재 금값이 어버버버... 하면서 징징 거리시는 분들 많으실겁니다.
이 금값이란게 따지고 보면 지금처럼 흘러갈수 밖에 없는 시스템이라는 것을 이해시켜 드리기 위해 일단 글을 적습니다.

[기본적인 경제 3 지표]
현재 이리퍼블릭에서는 3가지 요소가 기본적인 경제 지표입니다.

1. 금 대비 각국 화폐 비율 = 다시 말해 환율 및 금값
2. 각국 월급 (그 나라의 최고 임금을 이야기 하고 outlier (이상값) 이 나왔을 경우 이 이상값을 제거 해준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면 160선인데 한넘만 190인경우)
3. 각나라의 물가 지수(월급으로 얼마나 무기와 음식을 살수 있나)

이 3가지 부터 알고 지나가야 합니다.

[골드 대비 월급]
월급 / 환율 = 골드 대비 월급 라고 지칭합니다.

이 골드 대비 월급 이란게 상당히 중요합니다.
이리퍼 경제는 자국 노동자 뿐만 아니라 골드 대비 월급에 따라 이리저리 철새 처럼 왔다 갔다하는 노동자들이 상당합니다.
이러한 노동자들이 국가 내부 노동력과는 별도로 전세계를 돌아다니면서 임금 시장간의 수요 공급간의 갭을 줄여주는 역활을 합니다.
그러한 외국인 노동자들이 골드 대비 월급에 따라 일을 해주고 그 돈을 다시 환전하고 빠져나갑니다. (즉 외국인 노동자들이 많다는 소리는 장기적으로 환율의 영향을 가져온다는 이야기입니다. )
또 어드민 입장에서는 이러한 외국인 노동자들이 특정국가에 몰려 버리게 되면 게임내 경제 밸런스가 심각하게 손상이 됩니다.

그런 이유로 일차적으로 이러한 외국인 노동자들의 환전, 그리고 그 골드대비 원급의 국가적 갭차를 줄이기 위한 어드민의 봇 개입
이 2가지가 국가간 골드대비 월급의 갭을 줄이는 동력이 됩니다.

[물가지수]
물가지수란 월급으로 얼마나 음식과 물기를 살수 있나를 의미합니다.
이거는 대내적인 물가죠 (위의 골드 대비 월급은 따지고 보면 대외적인 물가를 의미합니다)

이 물가지수는 상당히 큰의미를 가집니다.
구매력을 의미하죠. 실 구매력은 수출입에 상당한 영향을 줍니다.
아시다시피 수출입은 환율에 상당한 영향을 줍니다.

물가가 낮으면 낮을수록 (제표의 물가지수가 높으면 높을수록) 수출이 늘어납니다.
물가가 높으면 높을수록 (제표의 물가지수가 낮으면 낮을수록) 수입이 늘어납니다.

** 각나라 관세가 높은데 어떻게 수출입이 제대로 되냐 이러는 분들이 계시는데. 밀수와 쇼핑관광이란게 존재합니다. **

위의 기본적인 경제 3지표에 대해서 스프레드 시트로 5국가 정도만 골라서 정리해놨습니다 이글의 이해에 상당한 도움이 되실겁니다.

[환율의 결정과정]
환율은 위의 2가지 지표의 짬뽕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골드대비 월급 VS 물가지수.
이 2가지 지표가 서로 상호 작용 혹은 작용 반작용을 하면서
환율이 서서히 방향성을 가지고 움직입니다.

근데 V3 들어오면서 하나의 요소가 생겼습니다.
플라토가 풀어놓은 봇이죠 이 봇이 일반 시장뿐만 아니라 환율 시장에도 작용을 합니다.
그 결과 예전같았으면 1~3일 뒤에 일어나야 될 일이 3~4시간안에 일어납니다.
리액션이 빠르다는 말이죠.

이러한 요소들을 잘 이해하신다면 환율의 변동에 크게 놀라시지 않으실겁니다.

[상도회 게시판 오픈]
상도회 게시판을 열었습니다.
이 게시판에서 환율과 월급 물가등..을 의논하고 토의하였으면 합니다.
http://erepkorea.hosting.paran.com/xe/Sangdo


국가공지 시스템
배틀오더
네이버 카페
행정부게시판
초보자를 위한 공략집 모음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