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특집] 임금과 고용에 대한 이야기 / [1st Edition Special] About salary and employment in eSK

Day 1,345, 17:38 Published in South Korea South Korea by Yan Wenli



안녕하세요, 여러분! 제가 드디어 신문을 창간하였습니다. ㅠ.ㅠ 앞으로 여러분들이 궁금해하시는 내용을 속시원히 풀 수 있도록 노력하는 언론인이 되겠습니다.

Hello, everyone! I eventually launched a newspaper. I will be a journalist who tries to gratify your curiosity clearly.



1. 임금은 단지 선택의 문제
1. Salary is just a choice matter




요즘 큰 이슈가 되고 있는 임금/고용 문제! 다들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많은 분들이 어려운 수학공식과 함께 임금/고용문제를 이야기하셨습니다. 저는 아주 얄팍한 제 지식으로 쉽게 이야기 해보려고 합니다. (결코 제가 수학을 싫어해서 그런건 아니에요ㅠㅠ)

What are you thinking about the current salary/employment issue in eSK? Many people talked about it with difficult mathematic equations. I will try to talk about this issue easily. (without math!) (The fact that I hate mathematics is not the reason. haha!)

그리고 저는 양쪽 모두의 의견에 공감하는 바입니다. 어떻게 정반대의 의견에 다 공감할 수 있냐구요? 이유는 간단합니다. 두 의견다 좋은 의견이지만, 어디에 촛점을 마추느냐가 다를뿐입니다.

I agree with the both sides. How can I agree with both? The reason is simple. Both opinions are good. The only difference is where you want to emphasis on.

간단히 말해서, 한쪽에서는 임금을 올리자고 하고,다른 한쪽에서는 임금을 올리지 말자고 합니다. 근시안적인 결과로는, 임금을 올리면, 새로운 유저들이 더 빠르게 적응을 할 수 있는 반면, 공장주들은 이윤이 적어지게 됩니다.

What I mean is that one side wants to raise salary, and another side does not want to raise salary. In myopic result, by raising salary, newbie could easily adapt to the game, but factory owners would have less income.

거시적인 결과로는, 임금을 올리면, 고임금에 따라서 더 많은 유저(신유저또는 외국유저)가 유입될 수 있는 가능성이 생기며, 신유저들이 상대적으로 렙업속도가 증가하게 됩니다. 단, 공장들의 이윤저하로 국가전체적인 생산력과 효율은 떨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임금의 증가와 감소에 따라서 각각의 장단점이 있습니다. 우리는 단지 선택의 기로에 서있을 뿐입니다.

In macroeconomic result, by raising salary, it’s possible to have more players (new or foreign) and for newbie to increase the speed of level up. However, according to the decrease of factory income, productivity and efficiency of the whole country would be going down. Therefore, both increase and decrease of salary have their pros and cons. It’s just a matter of choice.


선택1. 고임금으로 새 유저들의 빠른 렙업을 돕고, 저렙을 위한 복지국가를 만든다.

Choice 1. Through high salary, help newbie’s level up, build a welfare nation for low-level users.

선택2. 저임금으로 공장주들의 성장을 도와서 국가경쟁력을 높인다.

Choice 2. Through low salary, secure national competitiveness by helping factory owners.


결국은 경제성장이나 복지냐의 문제입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둘다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현재 시점에 우리는 경제성장에 더 중점을 두는것과 복지에 더 중점 두는것중에 선택하기만 하면 됩니다.

In the final analysis, the matter is economic growth or welfare. I personally think that both are equally important. Hence, we just need to make a choice between the two things.



2. 다른나라와의 임금 비교
2. Comparison with other countries




다른 모든 신문의 글들은 대부분 훌륭했지만, 단한가지 아쉬웠던 점은 다른 나라와 한국간의 비교였습니다. 사실 각 국가들은 여러가지 변수(인구,자원수,공장수등등)으로 인해 비교가 사실상 불가능합니다. 또한 그 나라의 사정에 맞게 임금이 천차만별로 형성되어 있습니다. 예를들어, 현재(Day 1345기준) 볼리비아의 평균임금은 25이며, 인도네시아의 평균임금은 200입니다. 어느것이 맞다고 할수 없습니다.

All other articles about this issue were great, but comparison with other countries was a fly in the ointment. In fact, each country cannot be compared since there are so many variables (population, resources, or factories). Also, the salary of a country suits the country’s individual conditions. For example, now(Day 1345) average salary of Bolivia is 25, and average salary of Indonesia is 200. We can’t say which one is correct.

많은분들이 골드로 환산을 해서 비교를 하셨는데, 그렇게 골드로만 비교를 하게 되면 또다른 함정에 빠지게 됩니다. 왜냐면 현지화폐를 이용해서 건물을 짓고, 음식이나 무기를 사는데, 또는 미션을 위해서 쓰이는데, 그 가격은 골드의 가격에 비례해서 변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임금을 다른나라의 임금과 골드로 환산하여 비교를 하는것은 무의미합니다. 사실 여러가지 변수들 때문에 비교자체가 무의미합니다.

Many people compared salaries with gold, but this comparison fall into another trap. This is because we use currency to make buildings, to buy food or weapons, and also for mission. The price for these do not vary depends on gold price. Therefore, it’s meaningless to compare the salary in eSK and it in other countries through gold price conversion. Indeed, comparison itself is meaningless because of a lot of variables.


3. 해결책은 무엇인가
3. What is the solution?




간단합니다. 우리나라는 우리나라에 맞는 임금을 가지면 됩니다. 만약 현재의 임금이 맞지 않다고 생각이 된다면,사람들의 의견을 모아서 정책을 수행해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 정부가 있고, 국회가 있고, 국회의원이 있는 것입니다. 모든 사람들에게 한번에 맞추어 줄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새로운 유저를 위한 정책과 공장주들을 위한 정책을 번갈아 가면서 낼 수는 있겠죠.

It’s simple. eSK should have salary which suits eSK. If you think the current salary is not right, you can build a policy by gathering opinions from people. For this reason, there are government,congress, and congress members. We can’t make a policy for everyone’s desire, but we can build policies for newbie and factory owners alternately.

한가지 확실한 것은, 우리나라가 강대국이 되기 위해서는 공장주들을 지원해서 경제적인 능력을 키워야 합니다. 경제적인 힘을 위해 모든 유저들이 언젠가는 공장주가 되어야 합니다. 이 게임에서 경제력은 곧 국력이며 군사력 또한 경제력이 강하게 뒷받침이 되어야 하니까요.

One certain thing is that it’s necessary to develop economic power to build a strong nation by supporting factory owners. In this game, economic power means national power, and also military power is strongly based on economic power.

물론 언젠가 우리나라가 강대국이 된다면, 더이상 공장주들을 지원할 필요가 없겠지만, 현재 우리는 경제력이 너무나도 부족한 나라입니다. 따라서, 당장은 아니더라도 새로운 공장주들이 많이 생겼을때 공장주를 위한 정책도 반드시 필요할 것 같습니다.

If eSK became a powerful nation, we might not need to support factory owners. However, eSK is a very very week nation economically. Thus, there’s no hurry, but at some point it’s crucial to have a policy for factory owners.


p.s. 제 신문의 댓글에서는 감정적인 싸움은 자제해주시길 바랍니다.
게임은 즐거운 마음으로 즐겨야 정신 건강에 이롭습니다.

p.s. Please do not fight in comments.
For your mental health, just enjoy a game as a game.

마지막으로 휴가간 엔칭을 위해...

Lastly, for ernching in vacation...

소녀시대 스페셜~!!

SDSD Spec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