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환율전문 신문 [DEATH STAR NEWS] _제 2판

Day 1,326, 00:34 Published in South Korea USA by MIllIM



알짜배기 eSK 신문 <대한독립신문>
http://www.erepublik.com/en/newspaper/great-korea-independence-259214/1

안녕하세요
e대한민국 경제, 환율전문 신문을 표방하고 있는 DEATH STAR NEWS의 편집장
MIllIM 입니다

DEATH STAR NEWS 에서는 전세계 환율, 원자재 시장 정보를 쉽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올라오는 국가별 정보는 인구수 10위권 국가 + 한국, 일본을 기준으로 하고 있습니다
추가하고 싶은 국가가 있으시면 댓글로 달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오늘자 전세계 환율 시장 정보



오늘자 전세계 식품 원자재 시장 정보



오늘자 전세계 무기 원자재 시장 정보


<기준 시간 : 2011년 7월 8일 오후 3시 40분 -한국>

- 각 국가별 환율을 환전시장 매물로 올라와 있는 최저가를 기준으로 하였습니다
- 원자재 판매값의 기준은 최저가로 하되 매물 수량이 적다고 판단될 경우 다음 최저가를 기준으로 하였습니다
- 원자재의 한국 비교는 골드를 기준으로 잡았으며 1보다 높을 경우 물가가 한국보다 낮은 것 입니다
- 변동은 전날 기록을 기준으로 잡습니다



왜 이리퍼블릭 고수들은 7500원짜리 무기 원자재 공장을 추천하는 것일까?
식품 원자재 공장이나 2차 가공 공장 같은걸 지으면 안되는 것일까?
아니면 골드로 지을 수 있는 원자재 공장이나 2000원짜리 공장을 3개 지으면 안되는 것일까?

이 게임을 얼마 시작하지 않으신 분들이라면 다 한번 쯤은 생각해보는 고민입니다
저도 12레벨이 되서 회사를 설립할 수 있을 때 부터 고민했던 문제였고
식품 공장을 지은 현재로써도 후회하고 있는 문제입니다 ㅠ


그래서 이번 DEATH STAR NEWS _제 2판에서는 이 문제를 한번 훑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고수들이 추천하는 방법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골드를 최대한 사용하지 않으면서 17레벨을 찍는다

2. 지금까지 모은 골드를 한화로 판매해 그 수익금으로 7500원짜리 무기 원자재 공장을 설립한다

3. 무기 원자재를 판매해 여유롭게 생활한다


많은 분들이 이 방법을 추천해 주시고 또 많은 분들이 선택한 방법입니다
하지만 의문점은 아직 많습니다

1. 모든 유저들이 무기 원자재 공장을 설립한다면 오히려 원자재 값이 떨어져 손해를 보지 않을까?

2. 원자재의 공급이 많아지면 그만큼 값도 떨어져서 2차 가공품을 판매하는게 이익이지 않을까?

3. 다들 무기 원자재를 선택할 때 나만큼이라도 식품 원자재를 선택해 이익을 볼 수 있지 않을까?

4. 유입 유저가 많으니 2차 가공품의 판매 또한 증가하여 그에 따른 이익을 볼 수 있지 않을까?

5. 7500원으로 한 회사가 아닌 여러 회사를 설립하는게 더 이익이지 않을까?

6. 회사를 설립하지 않고 지속적인 전쟁을 통해 빠른 레벨 업을 하는게 더 이익이지 않을까?


선택에 신중하신 분이라면 이런 생각은 다들 한 번쯤 해보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그래서 위의 질문을 바탕으로 고수들이 추천하는 방법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모든 유저들이 무기 원자재 공장을 설립한다면 오히려 원자재 값이 떨어져 손해를 보지 않을까?

> 시장경제의 논리로 설명하면 맞는 이야기 입니다
많은 유저들이 한순간에 같은 종류의 원자재를 많은 물량으로 쏟아낸다면 값이 떨어지는게 맞습니다

하지만 이 이야기는 아쉽게도 한국에서 만큼은 통용되지 않습니다
시장의 크기 자체가 작다보니 공급량 또한 많을 수가 없습니다
유입된 유저들의 수가 많기는 하지만 현재 설립된 공장으로도 충분히 커버를 할 수 있다고 판단되며
현재 한국의 물가는 거품이 있는 상태임으로 값이 조금 떨어지는 것은 오히려 경제가 성장했다는 의미와 같습니다


2. 원자재의 공급이 많아지면 그만큼 값도 떨어져서 2차 가공품(q1)을 판매하는게 이익이지 않을까?

> 많은 분들이 이처럼 판단하고 2차 가공공장을 설립하시고 계십니다
하지만 이는 하나는 알고 둘은 모르는 이야기입니다

시장을 조금이라도 주의깊게 살펴보신 분들이라면 아시겠지만
현재 판매되고 있는 2차 가공품을 원자재 값으로 비교했을 때 2배가 안됩니다
이는 같은 노동력을 사용했을 때 같은 값어치의 이익을 얻을 수 없다는 이야기입니다

또한 유인공장을 돌리시는 수많은 고수분들이 지금 이 순간에도 2차 가공품을 계속해서 쏟아내고 있습니다
무인공장을 돌리는 우리와 같은 뉴비들이 그분들과 경쟁을 하자면 경쟁력이 떨어질 수 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현재 한국에서는 2차 가공품에 10%의 세금을 부여하고 있습니다
가격이 2배가 되더라도 10%의 세금이 부여됨으로 더 적은 이익을 얻을 수 밖에 없다는 이야기입니다

개인적인 소비를 위해 공장을 설립하신 분들이라면 원자재 값으로 2차 가공품을 이용할 수 있으니
그에 따른 이익은 확실히 존재합니다

하지만 판매를 생각하신 선택이라면 조금은 미래가 어둡다고 할 수 있습니다

특히나 q1 무기공장을 설립하신 분들이 간혹 계시는데
q1 무기의 경우 효율면에서 q5 무기와는 비교조차 할 수 없을 정도로 절망적이며
1회성 무기이기 때문에 수요 자체가 적은 상태입니다

무기의 소비자는 대다수가 고수분들이란걸 알아 두세요


3. 다들 무기 원자재를 선택할 때 나만큼이라도 식품 원자재를 선택해 이익을 볼 수 있지 않을까?

> 생각자체는 나쁘지 않았습니다만 현실이 그러지 못합니다 ㅠ
현재 시장에서 판매되는 원자재 값을 살펴보면 식품 원자재의 경우 값의 변동폭이 큰 반면
무기 원자재의 경우 값의 변동폭이 상대적으로 작은 편입니다

이는 무기 원자재 시장이 상대적으로 식품 원자재 시장보다 안정적이란 뜻이고
무기 원자재의 수요와 공급이 훨씬 원활하다는 의미 입니다

단기적으로 식품 원자재의 값이 높을 때 판매를 하여 시세차익을 노려볼 수는 있겠지만
수요와 공급이 불안정한 식품 원자재 시장을 굳이 선택하실 이유는 없다고 봅니다

또한 현재 뉴비들을 위한 식량공급 이벤트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조만간 북진을 위한 전쟁이 조직적으로 계획되어 있는 상태임으로
무기의 수요 또한 더욱 더 늘어날 전망입니다


4. 유입 유저가 많으니 2차 가공품의 판매 또한 증가하여 그에 따른 이익을 볼 수 있지 않을까?

> 2번에서 언급했다시피 판매량은 증가할 수는 있으나 2차 가공품에는 세금이란 것이 붙습니다
또한 현재 유입된 유저들의 경우 경제적인 능력이 부족한 상태임으로
그에 따른 판매 규모를 크게 잡기란 사실 어려운 일입니다


5. 7500원으로 한 회사가 아닌 여러 회사를 설립하는게 더 이익이지 않을까?

> 2000원짜리 공장이 생산하는 생산량은 70, 7500원짜리 공장이 생산하는 생산량은 175 입니다
결론적으로 2000원짜리 공장을 3개 건설한다면 생산량은 210 임으로 훨씬 많은 생산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둘은 알고 셋은 모르는 선택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일단 땅은 한정적입니다
확장 시 필요한 금액은 한화로 1000원이며
원자재 공장의 경우 마켓에 올리는 것이 불가능함으로 건물을 판매할 경우 절반 값만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7500원 공장의 경우 무인공장으로써 최고의 효율을 자랑하기 때문에 굳이 파괴할 이유가 없으며
땅을 한칸만 사용하기 때문에 오랫동안 플레이를 하시기에 적절한 선택입니다

지금 당장의 이익을 바라신다면 2000원짜리 원자재 공장을 여러개 설립하시는 것이 맞습니다
하지만 이리퍼블릭은 장기적인 안목이 필요한 게임입니다

멀리 보신다면 7500원짜리 원자재 공장을 선택하시는게 맞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6. 회사를 설립하지 않고 지속적인 전쟁을 통해 빠른 레벨 업을 하는게 더 이익이지 않을까?

> 저도 아직까지 이 게임을 오래해보지 못했기 때문에
레벨 업이란 시스템이 얼마나 어려운 것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다른 고수 유저들을 잘 살펴본다면 레벨이 30을 넘는 유저가 흔치 않다는 것 쯤은 잘 알 수 있습니다

또한 레벨 업을 위한 물자를 조달하기 위해서는 안정적인 수익이 있어야 합니다
단순히 골드 판매를 통해 목돈이 마련이 되었다고 해도
그 돈 또한 언젠가는 사라지기 마련입니다

안정적인 수익을 위해서라도 공장을 설립하는 것이 조금은 더 올바른 선택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다음 판에는 더 좋은 내용으로 찾아 뵙겠습니다 😁